1. 다양한 세대에 따른 시장의 진화
1) 마케터로서 시장을 바라보는관점
- 세대 : 동시대에 태어나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은 같은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을 공유할 가능성이 크다.
▶15년 단위로 나누어 볼 필요가 있다.
▶한국은 여러 세대가 과밀하게 모여 살고 있기 떄문에 세대를 나눠서 보는 관점이 필요하다.
① 베이비부머 1955~1964
- Market 1.0 품질이 우수한 제품 추구
- 고품질, 스펙 중심의 접근
② X세대 1965~1979
- Market 2.0 고객 만족 추구
③ 밀레니얼 (M) 세대 1980~1994
- Market 3.0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공정성 추구
- 많은 정보 접근을 통한 폭넓은 가치관과 객관화
- 인간성을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여김
④ Z 세대 1995~2010
- Market 4.0 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스마트한 기술 추구
- Market 5.0 디지털 휴머니티, 하이테크, 하이터치
⑤ 알파세대 2011년 이후
=> 과거의 시장은 없어진 것이 아니라, 밀려난 것이다. 따라서 우리 회사의 주고객은 어떤 세대인지를 알아야한다.
2. 변화하는 시장의 핵심키워드 - 패러다임, 주력 경제
1) 패러다임
- Post Corona 시대 : 기업의 사회 윤리 E(환경)S(사회이슈)G(지배구조)에 관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.
2) 주력경제
- 과거 : 파이프라인 이코노미 → 쇠퇴하는 추세
- 현재 : 플랫폼 이코노미 ( 양면시장 ) →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수익이 발생하는 U-commerce 시장
3. 변화하는 시장의 핵심 키웓 - 지구촌 헤게모니, 쇼핑, 라이프 스타일
3) 지구촌 헤게모니
- 과거 한국 경제의 고도 성장에 기여한 미국
▶1970~80년대 미국이 전 세계 GDP 40%를 점유했다.
=> Globalization이 대세인 시대
=> Pax Aamericana : 한국이 급성장한 시기
- 수출 주도의 경제 구조 마련
- 중국의 경제 개방
- 2025년 중국이 GDP이 역전을 예상한다. ( 미국의 영향력이 줄어듬 )
- 친중? 친미? => 불안정한 구조가 이어질 예정이다.
- 중국(BATH) : 바이두, 알리바바, 텐센트, 화웨이
- 미국 ( G 마피아 ) : 구글, 마이크로소프트, 아마존, 페이스북, IBM, 애플
▶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의 경쟁에서 한국의 포시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.
4) 쇼핑
- 오프라인 쇼핑 → 온라인 쇼핑
- 이커머스 혁명으로 인한 대형마트의 위축
▶이커머스를 위한 물류센터 역할로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.
- COVID19 이후 한국의 전체 소매시장 매출 50%를 이커머스가 담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
▶성장 시장으로써 성장의 기회가 있다.
- 이커머스 성장의 문제점 : 오프라인 매장의 종말 ( 리테일 아포칼립스 )
5) 라이프스타일
: 시간과 돈을 어디에 쓸 것인가?
- 라이프스타일을 결정하는 키워드
▶ 뉴노멀
▶ VUCA : 불투명한 상황, 불확실한 상황
- Volatile
- Uncertain
- Chaotic
- Ambiguous
▶ 다양성
▶ 장수에 대한 리스크
▶ 자녀에 대한 리스크
- 동거가구와 1인가구 증가로 주택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.
- 100세 세다로 전환하면서 불확실성,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.
=> 5가지 변화 발생 ( 거버넌스, 인구, 디지털 기술, 기후 및 환경 ) 을 인지하고 대응해야한다.
'Digital Marketing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5. 데이터 스크래핑을 통한 데이터 구조화 수집 (0) | 2023.04.18 |
---|---|
34. 빅테이터의 마케팅적 활용 가치 및 데이터 분석의 이해 (0) | 2023.04.18 |
32. 더 빠르게 다가온 미래형 소비, 뉴커머스 (New Commerce) (0) | 2023.04.17 |
31. 파트너 관계 관리 시대가 온다 : 플랫폼 시대의 소매채널 커뮤니케이션 (0) | 2023.04.17 |
30. 생산하는 플랫폼으로서의 리테일, 유통 생태계 (0) | 2023.04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