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Digital Marketing Study

39. 광고 성과 데이터 분석 및 해석 (1)

by co._.da.i 2023. 4. 27.
반응형

 

1. 데이터 없이는 광고할 수 없는 시대의 도래

- 구글과 페이스북은 95%이상이 광고 매출

- 광고 취급고가 가장 많은 국내 매체 : 네이버 ( 지상파 방송 3사의 합보다 많음 )

- 디지털 광고의 최적화 및 성과의 고도화

2. 온라인 광고 구조 및 광고 데이터의 이해

1) 온라인 광고의 구조

광고주 계정 (기업) - 광고의 전략/목표 단위 (캠페인) -  광고세트/광고 그룹 - 광고 소재 ( 실질적 콘텐츠 )

2) 광고 데이터 유형

①임프레션

-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었을까?

-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보았을까?

▶ 임프레션 지표 도출

     - 광고 노출 수 : 반복 시청 시 증가

     - 광고 도달 수 : 반복이 반영되지 않고 인원으로 체크됨

    - 도달률

    - 1인당 광고 노출 빈도

    - 온라인 광고는 순위에 다라 성과가 달라지는 경우가 존재한다.

      : 광고 게재 순위, 노출 순위도 반영됨

②액션

- 클릭, 동여상 조회, 좋아요, 추천

③컨버젼

- 최종 성과 달성에 관련하여 나타나는 지표

▶컨버전 지표

    - 전환수, 전환율

    - 직접 전환수 : ex) 키워드 검색 후 즉시 구매

    - 간접 전환수 : ex) 키워드 검색이 구매에 영향을 주었을 경우

    - 전환 매출액

④ 비용

- 광고 단위별 지출 금액

- 노출당 비용

- 클릭당 비용

▶과금 방식에 대한 지표

    - 광고비가 집행되는 경우

     → 광고를 몇 번 보여줬을 경우일까?

     → 광고를 클릭했을 경우일까?

     → CPA : Cost Per Action / CPS : Cost Per Sale : 클릭 후 실제 구매 발생 시 비용 발생

반응형

3. 엑셀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광고 성과 데이터 분석 해보기

ex) 키워드 광고에 투자되는 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광고 노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?

▶ 요일에 따른 광고 성과 차이

- 광고 집행에 유리한 요일 분석

- 집중 공략할 시간대 분석

클릭율 계산을 통해 어느 시간대에 / 어느 기기에서 / 어느 매체에서 클릭 효율이 많이 발생하는지 분석이 가능하다.

CTR(%) = 클릭수/노출수*100

전환율(=클릭 횟수에 따라 전환이 발생한비율)을 통해 클릭이 구매로 넘어가는 시간대를 알 수 있다.

CVR(%) = 전환수/클릭수*100 

☆ 효율적인 광고 성과 데이터 분석을 위한 포인트

- 지표의 의미에 대해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

- Dimension을 분석 관점으로 활용해보자

- 다차원 분석을 위해 슬라이서를 이용해보자

=> Dimension별로 적절하게 지표 분석에 관한 설계를 진행하여 데이터 분석을 고도화 하고 광고 성과를 최적화 하자.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