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Digital Marketing Study

15. 라이프 플랫폼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, 이커머스 마케팅 전략

by co._.da.i 2023. 4. 10.
반응형

1. e커머스의 이해

* e커머스 시장이 성장하는 이유

: 결제, 물류, 재고, 고객 서비스 관리 등의 기술적 환경이 개선되었고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소비가 대중화 되었다.

 

1) e커머스의 종류

  * DTC모델 (Direct to Consumer 모델)

     - 브랜드가 직접 플랫폼을 만들어 자사 플랫폼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형식이다.

     - AP 몰처럼 브랜드가 판매와 물류를 직접 관리한다.

  * E-Tailer 모델

     - 브랜드가 E-Tailer에게 제품을 파내하고, E-Tailer(온라인 소매업체)가 판매를 책임지는 형식이다. ex)쿠팡

  * 오픈마켓 (Open Market) 모델

     - 브랜드가 오픈 마켓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형식이다.

     - 판매의 책임이 오픈 마켓이 아닌 브랜드에게 있다.

     - 오픈 마켓이 수수료를 결제하여 제공한다.

  * 인플루언셜 커머스

     -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및 제품을 판매하는 형식이다.

       ▶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물건을 팔 수 있는 채널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.

 

2) e커머스 사업 모델

  * 커뮤니티 주도 모델 ex)화해, 스타일 쉐어

    - 소비자들이 모여 커뮤니티처럼 운영된다.

    - 단순 판매를 넘어 팬덤을 형성하며 운영한다.

  * 구독 모델

    -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제품을 정기적으로 배송한다.

  *  Private Traffic 모델

    -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개인들이 컨트롤을 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이다.

    - 숍인숍과 비슷한 개념이다.

    - 개인이 클릭 몇 번으로 공간을 만들어 물건을 팔 수 있다.

    - 앱을 만들 필요가 없다.

  * 온디맨드 (On-Demand)모델

    - 소비자가 원하는 때에 즉시 제공하는 개별 맞춤형 서비스이다.

 

2. 미디어 커머스의 성장

* MZ세대들이 주1회 이상 사용하는 버티컬 커머스 앱이 존재한다. 버티컬 커머스의 성공 요인은 미디어 콘텐츠이다.

* 제품 뿐 아니라 콘텐츠와 커뮤니티를 함께 소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

반응형

3. 라이브 커머스의 등장과 성장

* 라이브 스트리밍 + e 커머스 = 라이브 커머스 방송 (라방)

: 실시간 방송과 커머스를 결합한 판매 채널을 말한다.

1) 라이브 커머스 진출 플랫폼

  * 라이브 커머스 특화 플랫폼 서비스

    - 라이브 커머스를 잘할 수 있도록 기능적인 툴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많다.

  * 자사몰 내 라이브 쇼핑 기능 탑재

    - 기존에 있던 TV홈쇼핑의 테크닉들을 랜선으로 옮겨가는 작업들이 진행되고 있다.

    - 자사몰 내 라이브 쇼핑 기능을 탑재하고 라이브 커머스 전문 제작 업체들과 제휴해 다양한 형태의 라이브 커머스 콘텐츠를 생산한다.

  * IT 미디어 플랫폼 기업의 진출과 확장

    - IT 플래솜 기업들이 라이브 커머스를 론칭하고있다. ex) 카카오쇼핑라이브,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

 

=> 라이브 커머스 방송은 짧은 시간내 많은 채널에 접근하기 때문에 소비자를 후킹하기 위한 재미가 중요한 요소이다.

 

  

 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