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Digital Marketing Study

10. 검색의도를 활용하는 검색엔진 마케팅 전략 : PPC, SEO, 키워드 최적화

by co._.da.i 2023. 4. 6.
반응형

1. 검색엔진 마케팅의 이해

 1) NAVER 검색광고 = 네이버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위에 노출 ( 네이버 카페, 네이버 블로그 ) 시킨다.

 2) Google 이미지 검색 = 패션, 화장품 관련 제품의 이미지 검색을 위한 마케팅에 활용도가 높다.

 

과거에는 국내에서 네이버가 압도적이었지만, 점차 구글의 사용량이 많아지고있기 때문에 두가지를 다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.

* DA (Display Ad) = 이미지 광고

: 포털사이트 초기 화면에 존재하는 슬로슬 통해 이미지 형태의 광고를 게재하는 형식이다.

-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노출된다.

* SA (Search Ad) = 검색광고

: 포털사이트에서 검색 엔진으로 특정 키워드 검색 시 결과에 노출되는 광고

- 소비자 기호에 알맞은 상품을 노출하여 소비자를 사이트로 유입시키고 구매 전환으로 이끌게 된다.

 

[ 검색 엔진 마케팅 방식의 대표적인 두가지 PPC, SEO ]

 

2. 검색 광고(PPC - Pay Per Click)

= 이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, 광고주의 사이트가 노출되는 자리를 구매하는 형태의 광고를 말한다.

장점 )

1) 마케팅 적으로 활용하기가 쉽다. 돈을 준비하여 원하는 자리에 지불만 하면 된다.

2) 비용 탄력성을 가진다. 검색 결과로 나온 광고를 클릭해서

사이트에 들어오는 경우에만 비용이 책정되므로 비용 탄력적이다.

▶ 가격이 낮은 관련 키워드로 대체하여 비용을 효율적으로 잘 관리하는 것도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다.

3) 다양한 방식의 사후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대비 광고 효과를 계산하여

검색 광고 활동의 효과를 쉽게 측정할 수 있다.

▶ 소비자에 대한 정보 분석이 가능하다.

- Only Click

- Click + Buy

단점 )

유료 광고 영역의 웹페이지들을 더 이상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는다.

▶ SEO 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.

PPC 화면 예시

PPC 마케팅 전략 )

1) 선행작업 : 현재 상태에 대한 점검

- 명확한 목표 설정이 필요

- KPI ( Key Performance Indicator ) : 기존 목표 PPC 단가, 클릭수 등 설정 ( = 예산에 따른 다양한 목적과 목표 설정 )

- 현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설정

- 이용가능한 예산 수준 설정

2) 1단계 : 플랜에 따른 캠페인 설정

* 캠페인

- 마케팅 활동의 목적을 기준으로 묶어서 관리하는 광고 전략 단위이다.

- 캠페인을 통해 동일한 목적을 가진 마케팅 활동을 묶어 통합적으로 특정기간과 예산을 설정한다.

3) 2단계 : 광고 그룹 구분하기

누가 (= 광고주 계정) ▶어떤 목적으로(=캠페인1,2 : KPI 에 따라 셋팅이 다름)

▶어떤 고객에게(=광고 그룹1,2,3) 무엇을 보여주고(=키워드 1,2,3)어디로 데려가는가(소=재1,2)

 

* 각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검색 광고 (PPC) 템플릿을 활용해보면

핵심 키워드 설정, 캠페인 유지 방법 등 단계별 등록 과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.

https://searchad.naver.com/

 

네이버 광고

 

searchad.naver.com

https://ads.google.com/

 

Google Ads - 손쉬운 온라인 광고로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세요

나에게 중요한 결과를 달성하세요

ads.google.com

* Google Analytics / NAVER Analytics = 웹사이트 트래픽을 추적하고 보고하는 서비스이다.

* 입찰가 설정

- 고가의 키워드는 광고 입찰가를 높게 책정한 광고주에게 입찰되어 해당 광고가 게재된다.

- ROI ( Return On Investment )

= [ 이익 ( = CPC 객단가 X 구매자 수 X 이익률 )  /  예상 비용 ( = 클릭 수 X CPC 객단가 역산 ) ] X 이익

 

3. 검색 엔진 최적화(SEO - Search Engine Optimization)

= 이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,

광고주의 사이트가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형태의 광고를 말한다.

* 키워드 관리가 필요한 이유 ?

: PPC 의 단점 즉, 유료 광고 영역의 웹페이즈들을 더 이상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

키워드 관리를 통해 검색 엔진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해졌다.

* 검색 엔진 최적화의 개념

"이 사이트는 '이 정보'에 대한 정보의 내용이 많기 때문에 '이 정보에 대한 키워드'를 검색하면

이 사이트가 앞쪽에 뜨도록 해야해." 라는 네이버나 구글 등의 포털사이트의 판단에 부합하도록,

사이트의 여러 측면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. 즉, 키워드와 콘텐츠의 관련성을 찾음으로써 고객 접점을 만들어야 한다.

[ Off Page Optimization ]

운영 웹사이트의 명성을 높이는 방법

외부 최적화 : 우리의 사이트가 다양한 곳에서 링크되도록 만들어야 한다.

      '얼마나 많이' 링크되었는가?

       '얼마나 신뢰성 있는' 웹사이트가 링크했는가?

[ On Page Optimization ]

중요 검색어를 파악하고 운영 웹페이지 사이의 관련성을 높이는 방법

내부 최적화 : 키워드와 웹사이트 사이의 관련성을 높인다.

구조적 최적화 : 검색 엔진 최적화에 적합한 구조로 웹사이트를 구축한다.

     ▷ 주요 검색 엔진 회사 ( 네이버, 구글, 카카오 등 )에서 제공하는

          ' 검색 엔진 최적화 기본 가이드라인'을 숙지해야 한다.

 

* 구글의 'Page Rank'  /  네이버의 'C-Rank'

= 출처의 신뢰도와 인기도를 평가해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노출하는 각 포털의 검색 알고리즘을 말한다.

SEO 화면 예시

[ 온라인 광고의 과금 방식 ]

- CPM ( Cost Per Mile ) : 1000회 노출당 비용을 말한다.

- CPC ( Cost Per Click ) : 클릭당 비용 ▶ 최근에 가장 많이 과금되는 방식

- CPS ( Cost Per Sale ) : 판매당 과금

- CPA ( Cost Per Action ) : 특정 행동당 비용

- CPI ( Cost Per Install ) : 앱 설치당 비용

- CPE ( Cost Per Execution ) : 앱 설치 후 실행당 비용

 

반응형

4. 핵심 키워드 관리 전략의 중요성

[ 키워드 최적화하기 ]

1) BRAND 중심 키워드 최적화 = 기업이 판매하는 핵심 브랜드명이 들어간 키워드를 관리해야한다.

    ▶브랜드 중심 키워드는 소비자 검색량이 매우 많으므로, PPC 광고도 필수이다.

2) GENERIC 중심 키워드 최적화 = 대표 키워드 또는 일반 키워드를 관리해야한다.

     ex) '휴가철' 또는 '휴가'검색 시, A호텔 노출

    ▶소비자에게 기업의 브랜드를 각인시키기 위해 사용하므로, 경쟁이 치열하다.

3) PRODUCT 중심 키워드 최적화 =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,서비스 키워드를 관리해야한다.

    ex) 파리의 저렴한 호텔, 안전한 중저가 자동차 등

   ▶GENERIC 속성부터 롱테일(Long Tail)키워드 속성까지 다양하게 포괄된다.

4) ISSUE 중심 키워드 최적화 = 특정 이슈(할인 이벤트, 시즈널 행사 등)로 인해 생성된 키워드를 관리해야한다.

    ex) 도쿄 올림픽 지정 호텔

    ▶이슈 관련 키워드는 사전에 준비하여 해당 타이밍에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.

 

=> 네가지에 해당되는 각 키워드들은 엑셀파일 형태로 관리를 해주어야한다.

=> 키워드 검색량과 경쟁 정도를 적절히 고려하여 중요 키워드를 선정해야한다. 

* 검색량이 좀 떨어지더라도, 롱테일 키워드를 잘 개발하여 우리 고객들을 더욱 잘 끌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

   경쟁도가 높은 키워드를 내세우는 것보다 전략적이다.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