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 소셜 미디어 플랫폼 특성에 맞는 콘텐츠 구성 원칙 )
콘텐츠가 탑재될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해야한다.
*인스타그램 = 이미지를 올리는데 최적화된 콘텐츠이다.
- 전체 이미지 통일감이 중요하다.
- 텍스트 보다는 이미지의 형태 강화를 강화해야한다.
*유튜브 = 재미를 위해 구독하며 기업 정보를 위해 구독하지는 않는다.
- 검색 시 유입이 확대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. ( 구독 수만 몰입할 필요X )
- 트래픽이 중요하다면 인플루언서와의 협업을 통해 이벤트를 진행할 수도 있다.
=> 하나의 플랫폼에서 모든 콘텐츠를 제공하지 말고, 플랫폼의 특성에 맞춰 콘텐츠를 나누어 구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.
( SNS에서 핫할 콘텐츠를 발굴하는 과학적 접근법 )
Viral에 성공하는 절대적인 콘텐츠는 없다.
: 매일 쏟아지는 엄청난 양의 콘텐츠에 비해 소비자가 우리 콘텐츠에 집중하는 시간은 겨우 8초정도이다.
= 좋지 않은 조건 속에서 소비자의 흥미를 끌고 시선을 사로잡을만한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.
* 과학적, 논리적 접근으로 SNS에 적합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태도가 매우 중요하다.
* S-B-R Model
( 콘텐츠 제작 ) - ( 특정 행위 발현 ) - ( 액션 )
Marketing Stimulus - Consumer's Black Box - Consumer's Responses
ex) ( 희소성 법칙 ) ( 과시 욕구 발현 ) ( 콘텐츠 공유 및 재생산 )
=> 소비자가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야한다.
- 수량 희소성 = 제품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의 수요보다 적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.
- 장소 희소성 = 제한된 장소에서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제한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.
- 시간 희소성 =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시간에 제약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.
( 새로운 소비층, 디지털 네이티브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떻게 달라야 할까? )
* 디지털 속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
- 빠르다. /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에 빠르게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해야한다.
: 움직인 후에 반응을 봐야한다.
- 정보가 오픈 되어있다./ 소비자를 속일 수 없는 세상이기 때문에 진정성이 보여야한다.
: 적극적이고 진정성있는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.
- 공유를 기반으로 한다./ 재미있고 독특하고 신기한 것이어야한다.
=> 결국은 사람이다. 사람의 감정을 어떻게 움직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기반이되어야 한다.
( 양날의 검 인플루언서, 최대한의 효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? )
* Spokensperson (메시지 전달자)이 일반인 인플루언서/크리에이터 등으로 변화되고있다.
* MCN (Multi-channel Network) = 인플루언서 매니지먼트
* 메가 인플루언서 - 100만명 이상 팔로워 /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- 1만~10만 이상 팔로워
- 타깃 범위가 적은 경우 인플루언서의 팬덤을 활용한 마케팅이 더욱 효율적이다.
- 다양한 인플루언서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.
- 채널 성격, 타깃 특성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인플루언서 풀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.
- 공인도 일반인도 아닌 사람들이기 때문에 기업 이미지에 악영향을 끼칠 행동을 할 수 있다. (리스크 예방 필요)
( 점점 많아지는 커뮤니케이션 채널 중 어디에 집중해야 할까? )
* IMC ( Intergraged Marketing Communication ) = 통합된 마케팅 커뮤니케티이션 전략
- 상품, 서비스의 특징을 파악해야한다.
- 소비할 타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.
=> 특성에 따른 최적화된 효율성이 좋은 채널을 찾아야한다.
: 끊임없이 테스트 마케팅을 해서 소비자의 반응과 효율을 분석해야한다.
: 우리의 상품과 서비스가 어떤 채널과 궁합이 잘 맞는지 사전 테스트가 필수이다.
* 온/오프라인 채널을 넘나드는 고객 여정 설계를 통해 효과적인 고객 접점을 찾는 전략을 찾아야 한다.
( 디지털 시대의 고객 커뮤니케이션, 중요한 것은 '균형 잡기' )
* 세상은 넓어지고 내 일은 좁아진다.
: 많은 영역의 분야를 알아야만 일을 할 수 있는 시대이다. 즉 내가 하는 좁은 일만 보지 말고 고객 경험 여정에서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파악해야한다.
* 당장의 매출 극대화에만 집중하면 기업의 본질을 흐리는 메시지를 던질 수 있다.
따라서 궁극적인 핵심 가치를 일관되게 지정해야한다.
: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변화는 있어야한다.
* 빠르게 채널을 파악하고 터득, 적응해야한다.
: 소비자와의 적절한 연결점을 찾아 액션을 취해야 한다.
'Digital Marketing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. 디지털 시대의 마케팅 커뮤니케이터,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 (0) | 2023.04.07 |
---|---|
10. 검색의도를 활용하는 검색엔진 마케팅 전략 : PPC, SEO, 키워드 최적화 (0) | 2023.04.06 |
8. 고객을 '창작자'로 만드는 디지털 콘텐츠 최적화 전략 (0) | 2023.04.06 |
7. 고객의 진짜 속마음은 DATA에 있다. : DATA마케팅 전략 수립 (0) | 2023.04.05 |
6. 기업의 차원을 바꾸는 브랜드 리뉴얼, 이렇게 해야 성공한다 (1) | 2023.04.05 |
댓글